top of page

이전 홈 페이지(천리안) 캡쳐 화면

 

 

 

 

 

 

해운대백병원 가와사끼병 클리닉에서는 다양한 임상경험을 토대로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급성기 이후 심초음파검사 및 관상동맥 합병증이 있는 환아의 추적 및 관리 등을 시행 할 뿐 아니라 가와사끼병에 관한 다양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가와사끼병은 소아에게 주로 발생하는 급성 열성질환으로 1967년 일본 의사 가와사끼에 의해 보고되어 가와사끼병으로 명명됐다. 소아 중에서도 주로 5세 미만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그 중에서도 6개월~1세 영유아에게 더 많다.

가와사끼병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아마도 바이러스나 세균과 같은 감염원이 유발시킨 면역반응이 유전적으로 특정 소인을 가진 개인에게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라 생각된다. 가와사끼병은 표의 6가지 증상중 5가지 이상을 만족할 때 진단을 붙일 수 있다.

고열이 지속되면 관상동맥에 염증이 생기고 혈관벽이 늘어나며 부풀어 오르면 관상동맥류가 생기고 손상된 안쪽 벽이 두꺼워지며 혈소판이 침착돼 혈전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해 심장혈관이 좁아져 심근경색이 와서 드물게 급사까지 할 수 있다.

 

가와사끼병의 진단 기준

 

① 5일 이상 지속되는 발열

② 양측 결막의 충혈

③ 입술이 갈라지거나 빨개지고 딸기 모양의 혀

④ 손발바닥이 붓거나 손가락 끝 껍질이 벗겨짐

⑤ 목 임파선이 부어오름

 

 

 

가와사끼병은 빨리 열을 내려 관상동맥 합병증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치료의 제일 큰 관건이다. 면역(감마)글로블린이라는 주사약과 아스피린을 진단 직후 적어도 10일 이내에는 투여해야 한다. 대체로 일주일 안에 면역글로블린을 주사하면 85~90%는 하루 이틀 뒤 열이 떨어지고 회복된다. 그러므로 진단을 적절한 시기에 내려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간혹 진단기준을 모두 만족하지 않고 애매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불완전가와사끼병” 이라 하며,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열이 지속되는 경우를“불응성 가와사끼병” 이라 하는데 이 경우 관상동맥 합병증의 가능성이 휠씬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가와사끼병 FAQ (흔한 질문)

 

<Q> 아스피린은 언제까지 복용해야 하나?

<A> 발병해서 2개월까지는 소량의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혈소판 수가 많  은 경우에는 정상화 될 때까지 아스피린을 계속 복용하여 주는것이 좋다.

 

<Q> 아스피린 부작용은 없나?

<A> 소량(체중 kg당 3~5mg을 하루에 복용하는 경우)의 아스피린은 장기 복용하여도 전혀 부작용이 없다.

 

<Q> 아스피린은 라이(reye) 증후군의 원인이 라고 들었는데 어떤 문제가 있나?

<A> 미국에서 연구한 결과, 인플루엔자나 수두에 걸렸을 때,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드물게 라이 증후군에 걸린다고 한다. 반면에 일본에서의 연구 결과는 관계가 없다 고도 한다. 만일, 관상동맥 후유증이 있어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동안 인플루엔자가 유행하거나 수두에 걸렸을 때 에는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 일시 중지하고 주치의로부터 다른 약을 처방 받으면 안심할 수 있다. (주)라이 증후군이라 하면 감기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하여, 심한 구토가 연속되며 호흡이 빨라지고 의식이 없어진다, 열이 없는데도 경기를 하는 경우가 있다.

 

<Q> 가와사끼병에 걸리면 후유증이 없어도 장래 동맥경화증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게 사실인가?

<A> 아직 확실치 않지만 그러한 염려는 있다. 그러하므로 연구자들은 수십년 앞을 내다보고 동맥경화증의 위험이 있는지 없는지를 장기간에 걸쳐 추적 조사를 하고있다. 따라서 후유증이 없어도 장래 성인병(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암 등)을 예방할 목적으로 지금부터 일상생활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몸이 비대하지 않도록, 지방(특히 동물성 지방) 섭취에 유의하고 탄수화물(밥, 연류)의 과식은 좋지 않다. 야채류      를 많이 먹고 육류보다 어류가 좋다. 짠 음식이나 매운 것들을 피하고. 야외 체력운동을 충분히하여 균형이 잡힌 식사에 유념하고 충분한 운동으로 비만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당연히 커서도 담배는 피우지 말아야 한다.

 

 

해운대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가와사끼병 클리닉에서는 다양한 임상경험을 토대로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급성기 이후 심초음파검사 및 관상동맥 합병증이 있는 환아의 추적 및 관리 등을 시행 할 뿐 아니라 가와사끼병에 관한 다양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소아청소년과 송민섭 교수는 지난해 12월 <가와사끼병 바로 알기>라는 책을 인제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 하였다.

송민섭 교수는 “종래 흔치 않는 질환이라 일반인에겐 잘 알려지지 않았던 가와사끼병이 매년 3,000명 이상이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을 정도로 최근 몇 년 사이 크게 늘고 있다 보니 이름도 생소한 이병을 접한 아이 부모들은 걱정을 하기 마련이다. 자신의 아이가 ”가와사끼병“ 이라고 하면 간혹 부모들은 급사 등의 위험으로 과장된 인터넷 정보 등을 접하고 지레 겁부터 먹는데 가와사끼병은 처음에 적절히 치료하면 거의 대부분 합병증 없이 좋아지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또한 “하지만 간혹 가와사끼병을 초기에 진단하지 못하여 치료시기를 놓쳐서 오거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열이 잘 떨어지지 않는 일부의 경우에서는 심각한 심장 합병증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볍게 봐서는 안 되겠다. 평소 넘쳐나는 인터넷 정보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정보가 부족함을 새삼 느끼고 있던 중 적절한 정보를 얻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책을 만들게 되었다.” 고 덧붙였다.

 

 

 

 

bottom of page